티스토리 뷰

 

20대와 30, 성공을 향한 쉼 없는 경주 속에서 숨이 막히고 있지 않으신가요? "누구는 창업해서 서른에 포르쉐 오너가 됐다더라." "누구는 벌써 행정고시에 합격했다더라." 이렇게 주변에서 들려오는 성공담은 때로는 자극이 되지만, 그만큼 불안감을 키우기도 합니다. 마치 지금 당장 성공하지 않으면 뒤처질 것 같은 조급함에 앞만 보고 달리지만, 이상하게도 성공은 신기루처럼 손에 잡히지 않고 오히려 마음속 공허함만 커져갑니다.

하지만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오래전 선인들의 지혜를 빌려보는 것은 어떨까요? 중국 송나라 유의경이 엮은 세설신어(世說新語)에는 이런 경고가 담겨 있습니다. 바로 '소년등과(少年登科)' , 젊은 나이에 벼락같이 성공하는 것이 오히려 인생의 3대 불행 중 하나로 꼽힌다는 메시지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른 성공이 불행의 씨앗이 될 수 있는 걸까요? 지금부터 그 이유를 차근히 살펴보겠습니다.

 

1. 소년등과일불행(少年登科一不幸), 덜 익은 성공은 독이 된다

"소년등과일불행(少年登科一不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젊은 나이에 얻은 성공이 오히려 불행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왜 그럴까요? 인격이 채 성숙하기도 전에 얻은 성공은 마치 덜 익은 과일과 같습니다. 처음에는 달콤할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면 쉽게 상하고, 결국 독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세상을 깊이 이해하고 자신을 돌아볼 여유도 없이 찾아온 성공은 자만심과 편견이라는 덫을 놓아, 결국 스스로를 파멸의 길로 이끌 수 있습니다. 이는 관계를 틀어지게 하고, 더 큰 실패를 불러오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실제로 20~30대에 큰돈을 벌어도 이를 말년까지 유지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젊은 나이에 큰 부를 얻으면 종종 사치와 유혹에 빠지기 쉬워, 결국 모든 것을 잃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인생의 중반 이후에 성공한 사람은 그동안의 실패와 성찰을 통해 성숙해졌기 때문에 이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인생에서 진정한 성공은 단순히 빠른 성취가 아닌, 자신을 성찰하고 세상을 깊이 이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것입니다.

 

2. 소년등과 부득호사(少年登科 不得好死), 이른 성공의 대가는 무겁다

또 다른 격언인 "소년등과 부득호사(少年登科 不得好死)"소년 시절 출세하면 곱게 죽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다소 섬뜩하게 들릴 수 있지만, 이는 이른 성공이 오래가지 못한다는 냉혹한 진실을 보여줍니다. 선조들은 젊은 나이에 얻은 성공, 특히 권력과 재물을 경계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이른 성공은 나태와 자만이라는 달콤한 유혹을 가져오고, 이는 종종 더 큰 실패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마치 단단한 뿌리 없이 무성하게 자란 나무와 같아서, 겉보기엔 화려해 보일지라도, 작은 비바람에도 쉽게 쓰러져 그 생명을 다하게 되는 것과 같습니다.

한편, "소년등과를 하면 십중팔구 거만해진다"는 옛말처럼, 일찍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게 교만해지기 쉽습니다. 사람을 함부로 대하거나, 말투와 눈빛에서 남을 내려다보는 태도가 드러나게 됩니다. 이는 결국 주변과의 관계를 틀어지게 하고, 자신을 고립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3. 궁즉독선기신(窮則獨善其身), 고독을 견뎌내라

맹자는 달즉겸선천하(達則兼善天下), 궁즉독선기신(窮則獨善其身)”이라는 가르침을 남겼습니다. 이는 성공했을 때는 세상을 이롭게 하고, 어려운 상황에서는 스스로를 지키라는 뜻입니다. 특히 젊은 시절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을 때, 그 고독과 어려움을 견디며 자신의 내면을 단단히 다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진정한 성공이란 다른 누군가가 정한 기준을 따르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자신만의 가치를 찾고, 그 가치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는 과정에서 발견됩니다. 세설신어의 경고처럼, 이른 성공에 목매기보다 자신만의 속도로 나아가는 삶이 더 깊이 있고 의미 있을 것입니다. 이른 성공을 향한 조급함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돌아보며 '나다운 삶'을 살아가길 바랍니다. 천천히 그러나 단단하게, 내 안의 진정한 ''를 찾아가는 여정이야말로 인생에서 가장 값진 시간이 될 것입니다. 2030, 자신만의 속도로 나아가는 당신의 여정을 응원합니다.

참고한 도서 : 세설신어, 맹자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만렙이 세상을 다루는 방법 3가지  (0) 2025.01.12